하계 옥수수 사일리지 관련 논문

사일리지용 옥수수는 단위면적 당 건물수량 및 영양가치가 높아 축산농가에서 중요한 풀사료로 사용하고 있음.

 그러나 농가의 작부체계 와 금년의 극심한 봄 가뭄과 같은 기상여건에 따라 파종시기가 달라질 수 있음.

그러므로 파종시기가 늦어졌을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됨.

국내의 사일리지용 옥수수는 일반적으로 중생종만생종을 중점적으로 재배하고 있으며(, , 2010,) 이 품종간의 수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됨.

본 연구는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작부체계가 권장하는 파종시기보다 늦게 파종하였을 때 건물수량과 TDN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음.

P3394 평안옥의 초장, 생초 수량 및 건물수량은 Tabel 2에 제시하였음.

P3394 평안옥의 초장은 각각 235.1 237.9cm로 차이는 없었음.

건물수량 P3394 평안옥의 총 건물수량은 각각 11,178.3 11,594.8 ton/ha평안옥에서 높았지만 두 품종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음(p>0.05).

암이삭은 경엽에 비해서 소화율과 에너지 함량이 높아 암이삭 비율이 증가하면 TDN함량이 높아지므로 암이삭의 비율이 중요함.

중생종인 P3394의 경우 경엽과 암이삭의  건물수량의 비율은 각각 51.7% 48.3% 로 이론적인 수확적기로 생각됨.  한편 만생종인 평안옥의 경우경엽과 암이삭의 건물수량 비율이 각각 70.3 29.7%로 나타나 암이삭의 건물수량 비율이 낮아 생육이 불량한 것으로 생각됨.

이러한  P3394평안옥의 품종에 따라서 생육기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암이삭 건물수량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됨. 또한 옥수수는 출사이후 성숙기 까지 하루 300kg/ha 이상의 건물 증가량을 보이는데, 이 때 일조량이 많아지면 암이삭의 생산비율이 높아짐(김 등; 2011). 본 연구에서 수확시기가 9월 중순으로  일조시간이 감소하는 시기이므로 평안옥의 암이삭 건물 수량이 증가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됨.

 

TDN 수량은 P3394 및 평안옥이 각각 7,951.6 7,670.3kg/ha 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음(Table 3; p>0.05).

이와 같은 결과는  손 등(2011)이 제시한  지역별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TDN수량이 7.14~17.43 ton/ha 였는데,TDN수량의 평균 TDN수량은 13.2ton/ha 으로 본 연구에서 보다는 높은 결과를 보였음.  손 등(2011)이 제시한 TDN수량 중에서 수량이 낮은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은 평창지역으로 본 연구에서 처럼 일조시간이 짧은 지역으로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냄.

하계파종을 할 경우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 및 TDN수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.

특히,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에 따라 파종시기가 늦어지면서 암이삭과 경엽의 비율이
불량해져 건물수량이 낮게 나타므로 최적 파종시기에  파종을 해야할 것으로 판단됨.

 

 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